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반도체 취업
- 토커비마이크
- 블록체인기부
- 위포트
- 토익스피킹무료
- 김변수
- GSAT기본서추천
- 엔지닉
- GSAT문제집
- GSAT홍기찬
- 온라인봉사학교
- 파이썬 함수
- 체리스쿨
- 파이썬 클래스
- 토익스피킹레벨
- GSAT온라인스터디
- 한양대ERICA
- 김변수와 시작하는 코딩생활
- GSAT류병주
- 토커비토익스피킹
- 토익스피킹시험시간
- 기부좋은날체리
- GSAT인강
- 파이썬
- 체리플랫폼
- 토익스피킹시험
- 토익스피킹인강
- 토커비
- 토익스피킹개정
- 토익스피킹독학
- Today
- Total
승이네 반도체
8/11 (목) 김변수와 시작하는 코딩생활 with 파이썬 스터디 8일차(필수 함수 / 정수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만들기) 본문
8/11 (목) 김변수와 시작하는 코딩생활 with 파이썬 스터디 8일차(필수 함수 / 정수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만들기)
승이네 2022. 8. 11. 00:20학습 내용 : 파트8. 함수
필수 과제 : 1-9. 정수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만들기
8. 함수
8-1. 함수
함수는 모든 프로그래밍에 존재하는 문법으로, 수학에서 말하는 함수(funtion)과 비슷합니다.
함수를 간단하게 말하자면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덩어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풋(input)과 코드 덩어리가 실행된 이후의 아웃풋(output)이 있을 수 있습니다.
input = x
output = f(x)로 나오는 원리입니다.(수학 함수 모두 아시죠...?)
사용법은
def 함수명(매개변수) :
실행문1
실행문2
return 반환하는 값
*def : 함수를 만들 때 이것이 함수라는 것을 알려주는 역할
*함수명 : 함수는 변수처럼 이름을 가져야 합니다.
*매개변수 : 함수에서 변수처럼 사용할 값입니다. 매개변수는 없을 수도, 1개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반환하는 값 : 함수의 마지막에는 return과 함께 아웃풋으로 반환할 값을 적어줍니다. 반환할 값이 없다면 return문장은 생략해도 됩니다.
다음과 같이 printHello 함수로 불러와야 print("hello world")가 실행됩니다.
8-2.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
def 함수명(매개변수)인 구조인데 이번에는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를 사용해 보겠습니다.
printSum을 실행하면 a와 b를 더해주는 함수를 만들어 줍니다.
심지어소수점까지 더해주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를 호출할 때는 매개변수의 개수를 신경 써야 합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적은 매개변수의 개수에 맞게 전달인자를 넣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배운것들을 응용하여 만들 수 있습니다.
8-3. 반환값이 있는 함수
함수에는 인풋에 해당하는 매개변수뿐만 아니라 아웃풋에 해당하는 반환값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Sum 값을 return하여 합계를 반환받는 코드입니다.
8-4. 변수의 사용 범위
함수 안에서 선언하는 변수는 코드 전체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함수 안에서 만든 변수는 함수 안에서만 쓰일 수 있고, 이런 변수를 지역 변수라고 합니다.
한편 우리가 써왔던 변수처럼 코드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를 전역 변수라고 합니다.
이렇게 지역변수인 result를 전역에서 사용하면 요류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cal(4, 5)인 함수를 result에 넣은 후 result를 실행하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num에 저장해서 print(num)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8-5. 내장 함수와 예약어
지금까지 직접 함수를 정의해서 사용했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파이썬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함수를 내장 함수라고 부릅니다.
여기서는 숫자의 절댓값을 구할 수 있는 abs()함수 사용해 내장 함수의 특징을 보겠습니다.
1) 함수를 정의하지 않고 호출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절댓값이 나타나게 됩니다.
2) 내장 함수 이름을 변수로 짓지 않는 것이 좋다.
4번 째 줄에 abs라는 이름의 함수를 호출하니 abs가 변수로 덮어씌워져 오류가 발생합니다.
파이썬에서 미리 구현해 둔 내장 함수처럼, 미리 문법적인 의미를 담아 둔 단어도 존재합니다. 이러한 단어를 예약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불 자료형은 True / False, 함수를 정의할 때 def, 리스트의 값을 삭제할 때 del과 같은 것들이 예약어입니다.
필수 과제 1-9. 정수 n까지의 합을 구하는 함수 만들기
사용자로부터 정수를 하나 입력받아 0부터 정수 n까지의 합계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세요.
단, 합계를 구하는 부분은 함수로 작성해야 합니다.
처음 함수를 사용하여 조금 난해해 예제 2번을 참고했지만 큰 틀은 예제 1번과 비슷하여 놀랐습니다.
저는 while문을 사용하여 마무리 했지만 예제 1번은 for문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조금 다르네요.